반려동물 등록 비용 및 자진신고 기간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실 반려동물 등록 제도는 이미 2014년도부터 운영되어 왔습니다. 고양이도 의무사항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보시는 것처럼 반려견(강아지)만 의무이고 고양이는 의무 아닙니다.
내장칩 등록비용 또한 동물병원에서 3~4만 원 정도 하는데, 반려견은 정부지원이 나오므로 보통 1만 원에 가능한데, 고양이는 지원금이 별도로 없어요.
하지만 매년 유실견이 늘었고 20년도엔 무려 년간 13만 마리의 유기동물이 발생했습니다. 이건 확인된 건수고 실제로는 더 많겠죠(버려지는 반려견들도 많고요. 그래서 21년도에도 유기동물을 잃어버렸을 때, 찾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반려동물 등록"을 강화하기 위해 자진 신고하도록 계도기간을 뒀고, 21년 10월부터 단속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유실 유기동물 분실신고 시 향후 유기동물이 발견되면 등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주인을 찾아줍니다.
등록대상 반려동물
의무 등록 대상 반려동물은 월령 기준 2개월 이상의 개로 집 안이든 밖에서 키우든 모두 등록 대상입니다. 보시는 것처럼고양이는 아니에요~ "개"를 소유한 사람은 등록해야 된다고 나오죠~
그리고, 최초 등록은 물론 변경등록도 하셔야 합니다.
반려견 주인이 이사를 했거나, 연락처를 바꿨거나, 소유자가 바뀌었거나 등등 변경등록을 하지 않을 때도 과태료가 부과됩니다(10만 원)
정보 변경등록은 사이트에서 간편하게
등록정보 변경은 동물보호관리시스템 사이트에서 매우 매우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소유주 성함 하고, 등록번호만 있으면 간단하게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로그인 필수)
자진신고 기간은 7.19 ~ 9.30
단속기간은 10.1 ~ 10.30
반려동물 등록 공문 보도자료(출처 : 농림축산 식품부)
반려동물 자진 신고는 지금부터 9월 30일까지 하시면 되고!
10월부터는 공원, 산책길 등 반려동물이 자주 출입하는 장소에서 시군구청 직원들이 단속을 합니다.
집중 단속기간은 2021년 10월 한 달이고요, 물론 평소에도 단속을 하지만(거의 안 하죠 사실), 이 기간 때는 집중적으로 하겠다는 겁니다.
그리고 미등록견은 10월 1일부터 반려동물 놀이터나, 반려동물 공공시설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등록방법 및 비용
반려동물 등록 및 자진신고는 시군구청에 직접 소유자가 할 수도 있지만,
"동물병원"에 방문해서 내장 칩을 삽입하고, 등록증 발급(동물병원에서 대행해줌) 받는 게 가장 편합니다. 싸기도 하고요.
간혹 외장형 무선식별장치를 인터넷으로 구매하고 인터넷으로 신청하시는 경우도 있는데, 비용이 더 많이 듭니다(정부지원 안됨)
외장형의 경우 개별적인 단말기 구입비용 + 등록비용(1만 원) 납부하셔야 해요!
대행업체는 주변 동물병원에서 진행해주는데, 전국 3,890개 동물병원에서 진행됩니다. 서울에만 862개 업체가 대행해줘요. 즉, 주변 웬만한 동물병원에서는 내장 칩 삽입 및 등록증 발급 대행을 다 해줍니다.
혹시나 싶으시면, "동물보호관리시스템"에서 대행 병원 확인이 가능하니, 방문 전 검색해보셔도 좋을 듯합니다.
비용은 원래 3~4만 원 정도이지만, 정부지원으로 1만 원에 내장 칩 사입 및 발급대행이 되고, 선착순으로 수수료 면제 혜택도 제공하고 있으니, 가까운 동물병원에 방문하셔서 등록하시기 바라요!
내장형 마이크로칩
안전한가요?
위 사진에서 우측이 마이크로 내장 칩으로쌀알만 한 크기인데, 반려견 견갑골 피부 아래에 주사로 삽입합니다.
외장형 무선식별장치는 장치 고장 우려 및 분실 우려가 있으니, 내장형으로 하시는 게 좋습니다. 정부도 내장형을 장려하고 있고요~!
마이크로칩은 체내 이물 반응이 없는 의료용 재질로 국제규격 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이니, 안심하고 사용하셔도 됩니다.
요약하자면, 반려동물 등록 및 자진신고는 "개"로 "고양이"는 의무대상이 아닙니다(지원도 안 나오고요)그리고, 내장 칩 삽입을 권장하고 있으며, 집 근처 동물병원에서 1만 원이면 칩 삽입 및 등록증 발급대행이 가능하고, 선착순으로 무료로 해주는 경우도 있으니 어서 등록하시길 바랍니다.
'강아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포도 먹어도 될까요 (0) | 2021.08.26 |
---|---|
강아지 멜론 먹어도 될까요? (0) | 2021.08.24 |
강아지 호박 먹어도 되나요? (1) | 2021.08.17 |
강아지 처음 키울때 필수용품 정리 (0) | 2021.08.12 |
강아지 처음 키울 때 지켜야하는 원칙 7가지 정리 (0) | 2021.08.10 |
댓글